월급·주휴수당 실전 계산 가이드 📝


요약 🔎

  • 질문 요지: 7일 중 6일, 1일 12시간(주 72시간) 근무시 실제 받아야 할 월급과 주휴수당 포함여부 확인
  • 핵심정보: 결근 없음, 4대보험 공제 후 260만 원 초반 지급, 주휴수당 미지급 의혹
  • 법적 근거: 근로기준법 및 2024년 최저임금 기준, 근로계약서 작성됨

1. 근무 조건 및 기본 정보

구분 내용
주 근무일 6일
1일 근무시간 12시간
주간 총 근무시간 72시간
결근 여부 없음
4대보험 적용
현 수령액(실수령) 260만 원 초반

⚠️ 주 52시간 근무제 법정 한도 초과!


2. 주휴수당이란? ✅

  • 주휴수당: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(통상 5일 이상)을 개근한 경우, 유급으로 지급되는 1일치 임금을 의미합니다.
  • 주휴수당의 조건: 1주 15시간 이상 근무 & 개근
  • 질문자님은 주 6일 근무・매일 12시간 → 주 72시간 근무로, 주휴수당 지급 대상임

3. 2024년 기준 시급 및 급여 계산

  • 최저시급(2024): 9,860원
  • 월 환산방법 (주 40시간 기준):
    • 월 급여 = 9,860원 × 209시간 = 2,061,740원 (주휴수당 포함)

하지만 질문자님의 근무 형태(주 72시간)와 다르므로 아래 별도 산정 필요!


A. 72시간 실제 급여 산출

  1. 주간 총 임금(주휴수당 포함)
    • 실제 근무 72시간 + 주휴수당 (72시간/6 × 1 = 12시간)
    • 주휴수당: 1일치(12시간) 추가
    • 주 총임금산정 시간: 72+12 = 84시간
  2. 1주 총 급여(세전, 최저임금 기준)
    • 84시간 × 9,860원 = 827,040원
  3. 월 환산
    • 827,040원 × 4.345주 = 3,594,757원 (세전, 주휴수당 포함)

💡 실제 월 수령액 (주휴 미포함 예시)
72시간 × 9,860원 × 4.345주 = 3,080,947원


4. 초과근로/법적 문제 ⚠️

  • 주 52시간 초과 근무: 근로기준법 위반
  • 연장, 야간, 휴일 수당 별도 지급 의무 있음
  • 근로조건 명시(근로계약서): 불이행 시 추가 배상 가능

5. 실수령액 예상 및 실제 지급액 비교

구분 주휴수당 미지급(추정) 주휴수당 포함(정상 지급시)
예상 세전 월급 약 3,080,947원 3,594,757원
현 실수령 2,600,000원 초반 ?
예측 차액 최소 400~1,000만원/년 이상💸

6. 꼭 확인하세요! ⚠️

  • 근로계약서상 주휴수당/연장·야간·휴일수당 내역 명시여부
  • 임금명세서(월별 급여내역, 세부 내역서) 수령
  • 노동청/고용노동부 신고 또는 상담 센터 활용

📌 주휴수당 및 초과근로수당 미지급, 근로조건 위반 시
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국번없이 1350)
또는 온라인 진정 접수 활용 가능


7. 실용 팁 & 다음 행동 제안 💡

  1. 임금명세서 요청 및 확인
  2. 근로계약서 재검토 (주휴, 연장수당 포함 내역 확인)
  3. 노동부 상담 문의 또는 진정 접수 준비
  4. 직장 내 대화 시 침착하게 권리 주장

혹시 주휴수당 외에도 야간・연장근로 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 궁금하신가요?

😯 지금 근로계약서, 임금명세서에서 관련 항목을 꼭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노무 전문가 상담을 추천드립니다!


정리 🟩

  • 현 실수령액(260만 원 초반)은 명백히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, 초과근로수당에 못 미칠 가능성이 높음
  • 실제 정상적으로 계산할 경우 세전 350~360만 원대 (최저임금, 주휴수당, 연장근로 반영)
  • 법적 보호를 위해 임금명세서・근로계약서 꼼꼼히 확인 필요

추가 자료 & 도움 받을 곳 🔵